현대장례절차 안내
현대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3일장을 기본으로 하므로 사망 후 당일로 수시를 행하게 되고, 사망한 다음날 습을 행하며 습이 끝나면 바로 소렴을 하고 입관까지 하게 되어 영습의 과정이 2일째 한꺼번에 이루어지고, 3일째 발인을 하게 된다.
일별 현대 장례절차 안내
일별 |
절차안내 |
1일차 |
- 천거정침(遷居正寢)
- 운명(殞命)/거애(擧哀)
- 고복(皐復)/초흔(招魂)
- 수시(收是)
- 부고(訃告)
|
2일차 |
- 습(襲)
- 반함(飯含)
- 소렴(小斂)
- 대렴(大斂)
- 성복(成服)
- 치장(治葬)
|
3일차 |
- 발인식
- 운구(運柩)
- 매장,화장
- 장례후 의례
|
1일날(첫째날) 상세설명
- 임종준비
- [준비물] 깨끗한 옷, 솜, 끈(혹은 붕대), 녹음기(필기도구), 각 종교 의례에 따른 도구
- 질병·천거정침(遷居正寢)]
- 천거정침은 병이 위중해 지면 평소 거처하던 방으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
- 병세가 위중하면 안방이나 거처하던 처소로 옮겨 편하고 바르게 눕힌 후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 입힌다.
- 안팎을 정숙히 하고 깨끗이 청소한 후 환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속광을 한다. 즉 임종을 맞을 준비를 하는 것이다. (이때 소리 내어 울거나 곡을 하여 환자의 마음을 산란하게 하지 않도록 한다.)
- 평소에 보고 싶어하던 사람이나 가족을 모이도록 한다.
- 말을 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하고 싶은 말씀(유언)을 하도록하고, 중요한 경우 적거나 녹음 할수 있도록 준비한다.
- 종교가 있는 경우 각 종교에 따라 성직자를 모시거나 경전이나 성가를 준비하여 환자가 편안하게 임종할 수 있도록 한다.
- 장례준비
- 운명을 하게 되면 눈을 감겨 드리고 나서 복을 행하나, 최근에는 도시 주택이나 아파트에서는 생략하기도 한다. 사잣밥을 놓기도 하며, 장례 치를 준비를 시작한다.
- 복(復)
- 운명 후 평소에 입돈 웃옷을 가지고 안방 문 앞 추녀 밑에서 북쪽을 향해 생시호칭(生時呼稱)으로"아무개 복"하고 세 번을 부른 뒤 지붕을 향해 던졌다가 잠시 후 그 옷을 내려 시신 위에 덮고 홑이불을 덮는다.
- 장례 준비
- 사망에 따른 진단서 및 인우 증명서 발급과 작성, 매장이나 화장시 절차, 장례를 전반적으로 이끌어 나갈 호상 선정, 종교적인 의례에 따른 장례방법, 장례용품의 선정, 손님접대 등의 준비를 한다.
- 운명(殞命)
- 운명은 초종(初終)의 소절차로 고인이 숨을 거두는 것을 말한다.
- 거애(擧哀)
- 수시(收是)
- [준비물] 수시복, 탈지면, 끈, 수건, 홑이불, 환자용 기저귀, 병풍, 상, 촛대(초), 향로(향), 사진, 긴 자
- 수시 : 시신을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수족(手足)을 골고루 주물러 굽힘이 없이 바르게 펴고 묶어 주는 절차를 말한다.
-
- ① 운명을 확인하고 나면 먼저 눈을 감기고 배설물을 치운 후 몸을 깨끗이 한다.
- ② 몸이 굳어지기 전에 팔다리를 반듯이 편다. 이미 굳어져 잘 펴지지 않으면 더운 물이나 따뜻한 수건으로 주물러 잘 펴지도록하여 반듯하게 한 다음 정갈한 옷(수시복, 수세복)으로 갈아 입힌다.
- ③ 머리를 낮은 베개로 반듯하게 괴고 동쪽으로 향하게 한다.
- ④ 두팔과 손을 바르게 펴서 배 위에 공수한 모양으로 올려놓은 다음 면이나 베로 만든 끈 또는 종이로 만든 끈을 이용하여 동여 맨다. 동여 맬 때는 양끝을 합쳐서 매듭을 짓지 않고 끈을 몇 번 비틀어서 한쪽으로 끼워 놓는다. 끈을 풀 때 잡아 당기기만 하여도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⑤ 양 어깨, 팔꿈치, 무릎과 정강이 부위를 동여맨다.
- ⑥ 발목을 정상으로 굽혀서 고정시켜 동여매고 지금까지 맨 방향과 직각으로 하여 손의 끈과 연결하여 준다. 두 손의 엄지가락과 두 발의 엄지가락을 묶어 수족의 끈을 마주 잡아 매기도 한다.
- ⑦ 탈지면으로 코, 귀 등을 막아 준 뒤 턱이 처지지않도록 햇솜이나 생베, 수건등으로 보공을 만들어 턱을 받쳐준다.
- ⑧ 시신을 수세포(홑이불)로 덮은 후 머리와 다리 부분의 이불을 안쪽으로 말아 마무리하고 벽쪽으로 모신다.
- ⑨ 병풍으로 시신을 가리고 상을 차린 다음 고인의 사진을 올려 놓고 촛대와 향로를 놓은 다음 촛불을 켜고 향을 피운다.
- 발상
- 상초상(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것)을 알리고 장례준비를 하는 것이다.
- 수시가 끝난 후 검소한 옷차림을 하고 "근조(謹弔)" 라고 쓴 등이나 "상중(喪中)", "기중(忌中)"이란 글을 대문에 붙여 상이 났음을 알린다.
- 부고
- 가까운 친척과 친지들에게 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으로 호상이 상주와 의논하여 진행하며, 사망시간 및 장소, 발인일시, 발인장소, 장지, 상주와 상제 등을 기록한다.
2일날(둘째날) 상세설명
- 염습
- [준비물] 수의, 대야, 수건(탈지면), 목욕물(향물, 알코올), 칼, 불린 쌀, 나무로 만든 수저, 구슬(혹은 동전)관(관보, 명정등),망치, 보공 용품(최근에는 두루마리 휴지를 사용하기도 함)
- 수의
-
- ① 수의의 재질 : 삼베, 명주, 면(혹은 인견), 한지 등
- ② 수의의 품목
- - 남자수의 : 심의나 도포, 저고리와 적삼, 바지와 속바지, 복건, 행전 등
- - 여자수의 : 원삼이나 두루마기, 저고리와 적삼, 바지와 속바지(단속곳), 치마와 속치마, 여모
- - 공용수의 : 명목, 악수, 버선, 신, 오낭, 이불(소렴금, 대렴금), 천금, 지요, 베개, 포(최근에는 염포) 등
- 습(襲)
-
- ① 옷을 입힐 때 가능한 시신을 덜 움직이고 한번에 옷을 입힐 수 있도록 한다.
- ② 병풍을 걷어낸다.
- ③ 홑이불을 한쪽에서 들도록 하고 수시할 때 동여 매었던 끈을 푼다.
- ④ 수시복을 벗겨 낸다.
- ⑤ 목욕을 시킨다.
- - 목욕을 시키는 물은 향물 혹은 깨끗한 물이나 알코올을 사용한다.
- - 탈지면이나 수건(타월)에 목욕물을 적시어 발부터 거슬러 올라가며 몸, 상체, 팔, 손 순서로 닦아 낸다.
- - 얼굴은 수의를 입힌 후에 씻기고 반함을 한다.
- ⑥ 양쪽 손톱을 깎아서 주머니에 담아 악수를 하고, 발톱을 깎아 주머니에 담고 버선을 신긴다.
- ⑦ 아래 옷(남자는 바지, 여자는 속바지와 치마)을 입힌다.
- ⑧ 윗옷을 입힌다.
- ⑨ 수의를 잘 여며 마무리하고 습신을 신긴다.
- ⑩ 얼굴을 씻기고 머리를 감긴 후 반함(쌀이나 구슬을 입안에 물리는 것)을 한다.
- ⑪ 반함(飯含)이 끝나면 충이를 하고 명목으로 얼굴을 감싼다.
- ⑫ 머리카락을 담은 오낭을 복건이나 여모속에 넣고 씌운다.
- ⑬ 얼굴이 움직이지 않도록 턱에 보공을 하기도 한다.
- 소렴(小斂)
- 시신에 수의를 입힌 다음 매장포(埋葬布)로 시신을 싸서 단단히 동여매는 절차
- 대렴(大斂)
- 시신을 관속에 입관 시키는 절차
- 성복(成服)
- [준비물] 상복, 성복제 지낼 제수용품
- 성복
- 성복은 고인과의 친인척(親姻戚) 관계의 멀고 가까움에 따라 오복(五服)의 제도에 맞추어 상주(喪主)들이 상복을 입는 절차이다.
- 성복제
- 대렴이 끝나고 나서 상주들은 상복(喪服)을 입고 제물을 차리고 자손이 상주가 되었음을 고하는 성복제를 지내게 되며 이 때부터 손님을 받게 된다. 입관 후에는 아침 저녁 끼니에 밥, 국, 적, 반찬 등의 밥상차림으로 상식을 올린다.
- 상복
- 예전에는 복친의 범위에 따라 착용하는 상복의 종류도 다르고 다양하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주로 남자는 검은 양복, 여자는 흰색이나 검은 색의 한복을 많이 착용하고 있으나 검은 색 양장을 하기도 한다. 또한 상주임을 표시하는 표식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평소에 준비해 둔 상복이 있으면 착용하기도 하며, 베로 만든 굴건제복(남자)이나 대수장군(여자)을 착 용하기도 한다.
3일날(셋째날) 상세설명
- 발인 및 운구
- 발인식
망자가 집을 떠날 때 관 앞이나 영구차 앞, 장례식장에서 행하는 의식이다. 제물을 차려 놓고, 종교에 따라 제물을 생략하기도 하나 일반적인 순서는 개식, 각 종교에 따른 의례, 약력소개, 종교 의례, 추도, 분향, 헌화, 폐식의 순으로 진행한다.
- 운구
관을 들고 나가는 것이다. 종교에 따라 명정이 앞서는 등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행렬의 순서는 먼저 성직자 및 성물을 든 사람이 인도하고, 사진이나 명정, 영구, 상주, 친척, 조문객의 순으로 뒤를 따른다. 노제, 하관, 평토, 봉분의 시기에 따라 의례를 행하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한다.
- 화장일 경우
관을 인도하여 화장장까지 와서 화구(火口)에 모시면서 제사를 지내거나 각 종교에 따른 의례를 행한다. 화장이 끝나면 유골을 수습하여 쇄골(碎骨:유골을 분쇄하는 것)을 하여 산골(散骨:자연으로 돌려보내는 것),자연장 또는 봉안당(납골당)등에 봉헌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