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상 거주지와 동거자 유무에 상관없이 실제 혼자 살고 있는 만 65세이상 노인
• 안전확인 : 주 1회 이상 방문, 주2회 이상 전화
• 생활교육 : 치매예방, 기상특보 대책방안 등
• 서비스 연계 : 정부지원사업 및 지역사회 민간복지 자원을 적극 발굴하여 서비스 연계 실시
수시 / 행정시 방문 (경로장애인지원과)
만 6세이상 만 65세미만 1~3급 등록장애인 중 서비스를 신청하여 활동지원등급(1~4등급)을 받은 자
활동보조, 방문목욕, 방문간호, 방문간호지시서
• 지원기준 : 월 47~391시간 차등 지원
- 기본급여 : 활동지원등급(1~4등급)에 따라 43만원~109만원 (47~118시간)
- 추가급여 : 생활환경에 따라 9만원~252만원 (10~273시간)
- 본인부담금 : 소득에 따라 면제~23만원 차등 부과
수시 / 주소지 읍면동 사무소(주민센터) 방문
국고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로서 추가지원 요건 충족하는 장애인
• 추가지원 요건
1) 본인이 정기적으로 사회활동을 하는 경우
2) 혼자서 거동이 불가능할 경우
3) 중복장애가 있을 경우
활동보조, 방문목욕, 방문간호, 방문간호지시서
• 지원급여 : 월 20 ~ 90시간
• 본인부담금 : 없음
수시 / 주소지 읍면동 사무소(주민센터) 방문
대 상 : 제주시 관내 청소년(중학생, 고등학생)
청소년에게 인문학 교육기회 제공으로 청소년기에 중요한 자아존중감 형성, 진로개척과 건강한 성장에 기여
인문학 상설 프로그램(강좌) 운영
청소년 인문학 여름캠프 운영
제주시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 모집계획 확인 후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메일 접수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 활성화를 통해 창의적인 청소년 활동여건을 조성하고 체험 활동공간을 제공 지역사회 청소년복지 증진 도모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운영
주5일 수업대비 청소년 체험활동 운영
동아리 운영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운영
청소년수련관 : 3개소(공공3)
시설명 | 소재지 | 면적(㎡) | 개관일 | 수용인원 |
---|---|---|---|---|
제주시 청소년수련관 (728-3960) | 제주시 사라봉동길21-1(건입동) | 부지 1,913 건물 3,887 | ´01.12.15 | 445 |
서귀포시 청소년수련관 (760-6411) | 서귀포시 중산간서로 97-1 (강정동) | 부지 7,860 건물 4,220 | ‘98.4.28 | 428 |
대정청소년 수련관 (760-3405) |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하모로149번길 21-8 (하모리) | 부지 4,255 건물 3,132 | ‘98.4.18 | 300 |
수련원 : 5개소(공공3, 민간2)
시설명 | 소재지 | 시설규모(㎡) | 개관일 | 수용가능인원 |
---|---|---|---|---|
제주청소년수련원 (796-1680) | 제주시 한림읍 금능남로 128(금능리) | 부지 196,144 건물 6,377 | '94. 3.15 | 61실 (416) |
비자림청소년수련원 (782-7001) | 제주시 구좌읍 비자숲길 55(평대리) | 부지 68,551 건물 2,767 | '92.12.1 | 34실 (286) |
안덕청소년수련원 (738-0450) | 서귀포시 안덕면 대평감산로 27(창천리) | 부지 12,721 건물 699 | '98. 6.24 | 6실 (100) |
남국청소년수련원 (799-1811) | 제주시 애월읍 방축길 128(봉성리) | 부지 9,685 건물 1,999 | ‘07. 7.12 | 45실 (300) |
성이시돌젊음의집 (796-7184) | 제주시 한림읍 금악동2길 25 | 부지 19,212 건물 7,678 | ‘14.12.16 | 131실 (499) |
야영장 : 2개소(제주시1, 서귀포시1)
시설명 | 소재지 | 시설규모(㎡) | 개관일 | 수용가능인원 |
---|---|---|---|---|
제주시청소년야영장 (721-8233) | 제주시 명림로 381(봉개동) | 부지 118,258 건물 66.28 | ‘06.10.14 | 570 |
모구리 야영장 (760-3408) | 서귀포시 성산읍 서성일로 260(난산리) | 부지 53,780 건물 961 | ‘03. 5. 3 | 580 |
청소년문화의집 : 21개소(공공시설)
시설명 | 소재지 | 시설규모(㎡) | 개관일 | 수용인원 |
---|---|---|---|---|
이도1청소년문화의집 (728-3958) | 제주시 서광로 29길17(이도1동) | 796 | ‘02.12.12 | 200 |
용담1청소년문화의집 (702-9008) | 제주시 서문로 37-10(용담1동) | 200 | ‘03.1.24 | 100 |
한림청소년문화의집 (796-6553) | 제주시 한림읍 한림상로 134-8 (한림리) | 666 | ‘09.7.29 | 200 |
추자청소년문화의집 (742-0793) | 제주시 추자면 대서6길 30(대서리) | 328 | ‘02.3.1 | 70 |
도남청소년문화의집 (755-7341) | 제주시 도남로 12길8(도남동) | 821 | ‘04.3 .4 | 150 |
도평청소년문화의집 (742-6223) | 제주시 도평길 22(도평동) | 624 | ‘01.1.26 | 200 |
화북청소년문화의집 (724-1513) | 제주시 진남로 59(화북1동) | 665 | ‘00.3.13 | 200 |
아라청소년문화의집 (724-0536) | 제주시 중앙로 582(아라1동) | 507 | ‘02.2.27 | 170 |
구좌청소년문화의집 (728-7789) | 제주시 구좌읍 세화5길 6-9 (세화리) | 730 | ‘14.4.17 | 104 |
애월문화의집 (728-8797) | 제주시 애월읍 377 | 744 | ‘15.9.4. | 96 |
남원청소년문화의집 (760-3404) |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체육관로221번길 16 | 673 | ‘01.1.20 | 250 |
신산청소년문화의집 (760-4297) | 서귀포시 성산읍 일주동로 5101(신산리) | 646 | ‘05.12.2 | 200 |
표선청소년문화의집 (760-4491) |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중앙로 13(표선리) | 664 | ‘09.8.1 | 200 |
안덕청소년문화의집 (760-4391) |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로 56번길 20 | 654 | ‘10.11.20 | 200 |
서귀포시청소년문화의집 (762-1406) | 서귀포시 동문동로 27(서귀동) | 912 | ‘00.5.30 | 150 |
송산청소년문화의집 (762-3854) | 서귀포시 소암로 4(서귀동) | 553 | ‘05.5.30 | 150 |
하효청소년문화의집 (767-4005) | 서귀포시 하효중앙로 132(하효동) | 380 | ‘99.2.11 | 150 |
법환청소년문화의집 (738-4116) | 서귀포시 막숙포로 70-1(법환동) | 664 | ‘05.12.3 | 200 |
강정청소년문화의집 (739-0046) | 서귀포시 강정통물로 112(강정동) | 494 | ‘05.4.4 | 150 |
예래청소년문화의집 (738-1300) | 서귀포시 열리로 80(상예동) | 577 | ‘04.1.10 | 150 |
동홍청소년문화의집 (760-3477) | 서귀포시 중산간동로 7950 (동홍동) | 678 | ‘14.4.22 | 150 |
각 청소년문화의집 홈페이지(카페)에서 프로그램 모집계획 확인 후 홈페이지(카페)를 통하여 이메일 접수
창의와 인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활동 증진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 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모델 시범사업 운영
주5일 수업대비 청소년 체험활동 운영
무지개 봉사동아리 프로젝트 운영
가족캠프 “Happy Youth, 행복한 패밀리” 개최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운영
청소년 자치참여 기구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
제주시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 모집게획 확인 후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메일 접수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자녀, 한부모 가정 자녀, 조손 가정 자녀, 저소득층 자녀, 차상위 계층가정 자녀 방과후아카데미 : 초등학생 4~6학년
- 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 초등 4 ~ 6학년 40명
- 한림청소년문화의집 방과후아카데미 : 초등 5학년 ~ 중등 2학년 40명
- 이도1동청소년문화의집 : 초등 4 ~ 6학년 40명
- YWCA 방과후아카데미 : 초등 4 ~ 6학년 40명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청소년에 대하여 방과후 활동·복지·보호·지도 등 체계적인 지역사회 공적 서비스 제공으로 청소년의 방과후 삶의질 향상
보충학습지원 및 교과학습과정 관리, 체험활동 프로그램, 석식 제공 등
시설별 방문 신청
자원봉사자활용 학습지도, 고충상담지도, 학습공간제공 등
공부방명 | 소재지 | 운영주체 | 면적(㎡)/열람석 | 개설일 |
---|---|---|---|---|
옹포 | 제주시 한림읍 월계로 21 | 옹포리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119/55 | 91. 3. 7 |
납읍 | 제주시 애월읍 납읍로 2길 3 | 납읍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248/72 | 92. 1. 31 |
김녕 | 제주시 구좌읍 김녕로 83 | 김녕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123/50 | 95. 3. 1 |
함덕 | 제주시 조천읍 신북로 516 | 함덕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528/104 | 92. 2. 1 |
봉개 | 제주시 번영로 503(봉개동) | 봉개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139/40 | 95. 9. 15 |
성화 | 제주시 용해로 55(용담2동) | 성화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132/50 | 84. 12. 22 |
동화 | 제주시 동화로1길 39 (주공2단지 관리사무소2층) |
동화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284/54 | 98. 8. 3 |
열린 | 제주시 동화로1길 10 | 화북주공열린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277/92 | 98.12.19 |
삼양 | 제주시 원당로5길 16 (삼양동 마을회관 1층) |
삼양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140/50 | 04.12.23 |
유수암 |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로 16 | 유수암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115/52 | 07. 9. 15 |
아라 | 제주시 인다12길 1 | 아라LH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63.6/30 | 09. 1. 8 |
색달동 | 색당동 1890-1 | 색당동문고회 | 132/50 | 91. 8. 13 |
하효동 | 하효중앙로 132 | 하효동문고회 | 211/88 | 96. 12. 21 |
호근동 | 호근남로 6 | 호근동문고회 | 92/60 | 84. 12. 5 |
예래동 | 열리로80 | 예래동문고회 | 247/90 | 85. 7. 18 |
하원동 | 하원로19번길 20-6 | 하원애향새마을금고 | 82/50 | 81. 4. 21 |
사계리 | 안덕면 사계중앙로18번길 5 | 옹포리청소년공부방 운영위원회 | 119/55 | 91. 3. 7 |
세화1리 | 표선면 세화리 1123 | 세화1리새마을문고회 | 99/60 | 91. 2. 13 |
의귀리 | 남원읍 한신로 207 | 의귀리청년회 | 122/50 | 97. 7. 16 |
상모1리 | 대정읍 상모인성로18 | 상모1리새마을금고 | 132/54 | 91. 2. 10 |
감산리 | 안덕면 감산중로32 | 감산리새마을문고 | 165/60 | 86. 8. 14 |
가시리 | 표선면 가시로 565번길 20 | 가시리청년회 | 132/59 | 06.08.20 |
신례2리 | 남원읍 공천포로69-1 | 신례2리청년회 | 133/30 | 08.12.15 |
해당지역청소년공부방 방문
제주특별자치도내에 주소지를 둔 만 65세이상 노인을 고용한 도내 영세사업체
상시 근로자수가 50인 미만으로 산재보험가입,세무서에 사업자 등록,근로계약체결한 업체
노인인력활용에 대한 사회적인식개선및 민간참여유도
부득이한 사정으로 급식을 거르는 저소득 노인들에게 무료급식을 제공하여 결식을 해소함으로써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 영위함을 목적으로 함
지원금액
신청장소 : 읍/면/동주민센터로 신청
구비서류
지급방법
만 60세 이상 기초수급자노인 및 차상위계층 노인, 저소득 독거노인 혹은 거동이 불편하여 경로식당을 이용하지 못하는 노인
거동이 불편하여 경로식당을 이용하지 못하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저소득노인에 대한 무료급식을 제공함으로써 결식을 해소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 영위를 목적으로 함
부득이한 사정으로 급식을 거르는 저소득 노인들에게 무료급식을 제공하여 결식을 해소함으로써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 영위함을 목적으로 함
경로식당
식사배달
원스톱독거노인센터 및 각 봉사단체 신청
타장애인에 비해 의료비의 지출이 상대적으로 높은1급 중증 장애인 및 신장장애들에 대하여 의료비를 지원함으로서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생활안정 도모
중증장애인 의료비 지원
신장장애인 의료비 지원
주민등록증 및 복지카드 제시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으로 청각장애인 중 수술적격자
저소득 청각장애인에게 인공달팽이관 이식 수술비 등의 지원을 통해 정상적인 언어생활 및 장애인가정의 의료비 부담경감
제주시청 사회복지과
노인복지시설에 입소 보호중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병원 입원시 유료 간병인 사용에 대한 비용 지원으로 입원 저소득 노인의 경제적 부담 경감 및 편의 도모
시설수급자는 간병비 지원을 보호시설로 신청 간병비 신청을 받은 시설은 제주시, 서귀포시 경로장애인지원과 시설담당자에게 시설공문으로 요청
청각, 언어, 지체, 시각, 지적, 신장장애인
장애인 단체별 행사 및 프로그램 지원으로 장애인의 사회성 향상 도모
지체장애인, 농아인, 지적장애인, 시각장애인, 신장장애인협회 각 지부 장애인단체 신청
도내 전체 등록장애인 중 운전면허 취득 희망자
장애인 교육지원을 통한 직업 및 사회적응력 향상에 기여
도내 소재 자동차운전전문학원 중 위탁 희망업체 선정 (2~3개소 지정)
장애인 운전면허 취득 완료 후 → 교육생 원부 사본ㆍ사업자통장 사본 등을 첨부 (자동차학원) → 행정시로 청구
교육비는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급되며, 장애인 1인당 1회에 한하여 지원
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지적장애인
장애인단체에서 바깥일을 처리하는데 상당한 불편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자체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는 장애인 이동봉사 차량에 대하여 필요경비를 지원함으로써 장애인들의 사회활동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인 단체의 활성화를 도모
장애인을 위한 이동지원
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지적장애인협회 각 지부 장애인단체 신청
지체, 지적, 농아, 신장, 시각장애인
장애인들의 사회활동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인 단체의 활성화를 도모
지체, 지적, 농아, 신장, 시각장애인협회 각 단체 지부 신청
비장애인에 비해 교통비의 지출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증장애인에게 교통비를 지급하여 장애인 가구의 생활안정 도모 / 청각·언어장애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영상전화통신비 지원으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여 생활편의 증진
장애인교통비 지원
장애인영상전화 사용료 지원
거주지 읍면동사무소 신청
지체장애인, 지적장애인, 청각·언어장애인, 신장장애인, 시작장애인
청각, 지적장애인들이 각종 교육지원을 통한 사회적응력 향상
지체, 지적, 농아, 신장, 시각장애인 각 단체 지부 신청
장애인의 고용 촉진을 위해 장애인을 고용한 도내 업체를 대상으로 임금 일부를 지원함으로써 자활·자립 도모
구분 | 경증 | 중증 | ||
---|---|---|---|---|
남성 | 여성 | 남성 | 여성 | |
지원금액 | 35만원 | 45만원 | 55만원 | 65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