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항이란 국민경제와 공공의 밀접한 관계가 있고, 국적을 불문하고 무역선들이 특별한 제약없이 쉽게 드나들 수 있는 항만을 일컫는다.
굳이 법령에 의하여 항만을 구분한다면 항만이란 항만법상 지정항만과 지방항만으로 나뉘고, 지정항만은 다시 무역항과 연안항으로 구분되어진다. 제주특별자치도내에는 2개의 무역항(제주항, 서귀포항)과 5개의 연안항(애월항, 한림항, 추자항, 화순항, 성산포항)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내에 있는 무역항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항

일반적 특성
- 제주항은 제주특별자치도의 관문항으로서 육지부와의 연안여객선이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국제크루즈선 입항증가로 국제 관광항만으로서 발돋움하고 있다.
지리적 특성
- 제주도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어 육지부와의 교통로서의 그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제주도내 전체 항만의 처리물동량을 비교해 볼 때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자연적 특성
- 제주항은 방파제로 둘러싸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항만임에 따라 바람의 영향이 크며, 그 후면에는 사라봉과 별도봉 능선으로 둘러져 있다.
제주항 항세
- 해상구역 : 서방파제 기점에서 북위 33도31분21.70초·동경 126도31분39.69초 지점, 북위 33도31분58.70초․동경 126도32분20.69초 지점, 북위 33도31분59.70초·동경 126도33분43.68초 지점과 곤을동 북단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 내의 해면
- 항내수면적 : 3,540k㎡, 해안선 : 3,000미터, 수심 : 2.0m ~ 11m, 간만의 차 : 2.1m
서귀포항

일반적 특성
- 서귀포항은 무역항만이나 출입하는 대부분의 선박이 국내 연안화물선이며, 해양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어 오래전부터 관광잠수정 등 유선업들이 발달하여 여러척의 유선들이 상시 드나들고 있다.
- 서귀포항은 무역항만이며 해안의 구성요소로 보면 항만시설(화물선부두, 어선부두, 유선부두)과 항계안에 1개의 섬이 있어 섬 주변 해안선이 있다. 특히 서귀포항 주변은 해양 생태계보전지역 및 해양보호지정되어 있는 등 환경민감자원이 다수 분포되어 있다.
지리적 특성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한라산이 있어 여름철을 제외한 대부분이 평온한 해상기상을 유지하고 있어 해상관광지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음
자연적 특성
- 항만주변이 해저의 희귀 및 저서동식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해저관광지로서도 유명함에 따라 세계각지의 다이버들이 찾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서귀포항 항세
- 해상구역 : 삼해봉 남동단 해안선(북위 33도14분19.82초·동경 126도33분19.69초)에서 북위 33도14분10.82초·동경 126도33분17.69초 지점, 북위 33도13분51.82초·동경 126도33분39.69초 지점, 북위 33도13분51.82초·동경 126도34분00.69초 지점, 북위 33도14분07.82초·동경 126도34분21.69초 지점, 북위 33도14분26.82초·동경 126도33분58.69초 지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 내의 해면과 북위 33도14분38.81초·동경 126도24분58.73초 지점, 북위 33도14분30.81초·동경 126도24분51.74초 지점, 북위 33도14분30.81초·동경 126도24분58.73초 지점, 북위 33도14분30.81초·동경 126도25분01.73초 지점, 북위 33도14분34.81초·동경 126도25분06.73초 지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 내의 해면
- 항내수면적 : 1,100k㎡, 항내수심 : 3m ~ 6m, 간만의 차 : 2.3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