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현재민)은 지하해수 활용 양식이 가능하며 새로운 양식어종으로 각광 받는 냉수성 어종인 터봇(대문짝 넙치) 수정란을 2월 말까지 민간 배양장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 도내에서 2011년부터 일부 터봇 양식이 시작돼 2023년 말 현재 15개소에서 지하해수를 이용해 연간 350~400톤을 생산하고 있다.
○ 특히 국내에서 생산된 터봇은 수출과 내수 판매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 터봇은 평균 1㎏까지 성장하는데 약 14개월이 소요된다. 광어 양식과 비교할 때 1㎏까지 성장기간이 광어보다 2~3개월 더 소요되지만, 판매가격이 더 높아 터봇 양식이 보다 유리한 상황이다.
○ 터봇 가격은 ㎏당 2만 4,000원으로 광어(kg당 14,000원)보다 비싼 가격에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터봇 양식을 위한 수정란이 생산되지 않아 7㎝급 종자를 전량 중국 수입(6억 원/년)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 터봇 종자 생산기술 확립이 절실하다.
■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안정적인 터봇 수정란 보급을 위해 친어 성숙유도 기법을 확립하고 냉수성 어종 전용 연구시설 구축 등을 통해 2022년부터 시험적으로 민간배양장에 수정란을 보급하고 있다.
○ 지난해 민간배양장 4개소에 터봇 수정란 116만개를 보급한 결과 1개소에서 종자생산에 성공해 현재까지 양성 중이며 곧 출하를 앞두고 있다.
○ 올해부터는 수정란 보급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으로 1월 현재까지 4개소에 120만개를 보급한 데 이어 2월 말까지 지속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 또한 연구원에서는 지하해수를 이용한 터봇 종자생산 기술 확립을 위해 『터봇 종자생산기술 매뉴얼 개발』을 추진 중이며, 수정란이 분양된 민간배양장과도 종자생산 기술을 공유하고 있다.
■ 현재민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터봇 종자산업 육성을 통해 양식대상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광어 외 양식이 가능한 새로운 어종을 발굴해 제주 양식산업의 다품종화를 통한 양식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