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해외브랜드 노트북 A/S 관련 피해 주의해야 | ||||||||
---|---|---|---|---|---|---|---|---|---|
작성일 | 2022-11-15 13:44:46 | 조회 | 314 회 | ||||||
작성자 | 경제정책과 | ||||||||
해외 브랜드 노트북의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관련 소비자피해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외 브랜드 제품*은 국내 브랜드보다 A/S 관련 피해가 상대적으로 많아 노트북 구입 시 사업자의 A/S 정책 등을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필요하다. * 레노버, HP, 아수스, 애플, 델 등
□ 해외 브랜드 노트북 피해, 국내 브랜드의 2배에 달해
최근 3년 6개월(2019~2022년 6월) 간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에 접수된 노트북 관련 피해구제 신청 중 제조사 확인이 가능한 796건을 분석한 결과, 해외 브랜드는 529건(66.5%), 국내 브랜드는 267건(33.5%)으로 해외제품의 피해가 국내제품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브랜드 노트북 피해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인데 2020년 125건에서 2021년 176건으로 1년 새 약 41% 증가했다. 전체 노트북 피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59.8%에서 73.6%로 커졌다. □ 해외 브랜드 노트북, 국내 브랜드보다 A/S 불만 비중 높아 노트북 피해 796건을 피해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노트북 흠집 등 외관불량이나 화면 이상과 같은 `제품하자’ 관련 피해가 41.3%(329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수리를 받고도 하자가 해결되지 않거나 품질보증기간 경과 이후 수리비를 과다하게 청구하는 등의 `A/S 불만’이 34.4%(274건)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및 해외 브랜드별로 비교해보면, `제품하자’ 비중은 국내(39.0%)와 해외(42.5%) 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A/S 불만’ 비중은 해외 노트북(36.9%)이 국내 노트북(29.6%)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해외 노트북의 수리비용 미고지 등과 같은 A/S 정책 차이와 일부 업체 직영 서비스센터의 접근성 문제 등 A/S 인프라 부족으로 안정적인 사후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전체 노트북에서 가장 피해가 많은 ‘제품하자’ 관련 329건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화면 이상‘과 `소음’ 피해는 해외 노트북이, `전원 고장’은 국내 노트북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 상품정보와 A/S 정책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해야 한국소비자원은 노트북을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구입 전 A/S 정책이나 품질 보증기간, 수리 비용 등을 확인‧비교해보고 구매할 것, 노트북 수령 시 주문한 제품이 맞는지 확인하고 포장을 개봉할 것, 제품 이상으로 점검 또는 수리가 필요할 경우 근거 자료를 확보하여 사업자에게 알린 후 공식수리업체에서 수리받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일부 해외 브랜드 노트북을 구매한 소비자들이 제품 하자로 A/S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제조사와 판매사가 품질보증이나 유무상 수리 기준, 주요 부품가격 등의 중요정보를 충실하게 고지하고 약정한 책임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첨부 #1 | 221110_해외브랜드+노트북+관련+피해예방주의보_보도자료.pdf (538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465 | 일부 차량용 온열시트 안전확인 신고 의무 미준수 N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2-02 | 49 |
2464 | 밴드형 신생아 기저귀, 흡수성능 등 품질 차이 있어 N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2-02 | 49 |
2463 | 가정용 화목보일러, 주변 가연물로 인한 화재 주의해야 N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2-02 | 47 |
2462 | 아우디·기아·벤츠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1-25 | 145 |
2461 | 현대·한국지엠·볼보트럭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1-25 | 113 |
2460 | 커피, 아파트, 가스보일러 관련 상담이 전월 대비 증가율 높아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1-25 | 117 |
2459 | 멜라토닌 함량 표시 제품, 불면증 개선 효과 없어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1-19 | 247 |
2458 | 일부 스키용 안전모, 충격흡수성·내관통성 안전기준 부적합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1-19 | 214 |
2457 | 프라이팬의 핵심 성능인 코팅 내구성, 제품 간 차이 있어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1-19 | 208 |
2456 | “설 명절 항공권,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 1 | 경제일자리과 | 2023-01-16 | 236 |
2455 | 반려동물 사체 매장·투기는 불법, 반려동물 양육자의 45.2%가 몰라 | 1 | 경제정책과 | 2023-01-11 | 156 |
2454 | 냉동볶음밥, 주요 영양성분이 한 끼 식사로 다소 부족 | 1 | 경제정책과 | 2023-01-11 | 159 |
2453 | 한국소비자원, 국제거래 피해 예방 동영상 콘텐츠 5종 제작·배포 | 1 | 경제정책과 | 2023-01-11 | 159 |
2452 | 온라인쇼핑몰 ‘엄마가게(맘앤마트)’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 1 | 경제정책과 | 2023-01-11 | 151 |
2451 | 물품형 모바일 상품권, 절반 이상이 유효기간 3개월 | 1 | 경제정책과 | 2023-01-05 | 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