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약사
문헌상 전하여 오는 것은 없고 현재 어음 2리(於音 2里) 서남방 약 1km 지점 하천 동측에 지금으로부터 483년전 조선 연산군(1504) 갑자사화 당시 은산부원군 후예인 홍문관 교리였던 정자 박후신(正子 朴厚信)이 노복 30여명을 거느리고 유배되었다. 그 지점 일대에 비옥한 황무지를 개척하여 자기 호를 따라 正字村(정자촌)이라 칭하여 거주한 것이 바로 오늘의 어음 2리 설촌 시초이다. 위 正子가 사후에 그곳에 묻어 지금도 정자묘가 평지되어 있고, 박씨 문중회에서는 입도 선묘로 음 3월 15일이면 묘제를 지내고 있으며, 그 부근 일대를 정자캐라 하는데 지금도 밭을 갈다보면 옛적에 기와조각이 나오고 있다. 하천은 錦城里(금성리)까지 따라가면서 정자호를 따라 정자내(川)이라 칭하다가 지금은 鼎地川(정지천)이라 부르고 있다.
역대이장
서기 1963년 1,2리 분리시 역대 이장
대 | 성명 | 임명연월일 | 해임연월일 |
---|---|---|---|
1 | 김남희 | 1963. 5. 18 | 1964. 2. 1 |
2 | 김대흥 | 1964. 4. 25 | 1965. 2. 15 |
3 | 양원하 | 1965. 2. 15 | 1966. 3. 15 |
4 | 부태홍 | 1966. 3. 16 | 1967. 7. 31 |
5 | 강용권 | 1968. 1. 7 | 1969. 10.21 |
6 | 문창석 | 1969.10. 20 | 1971.01.12 |
7 | 문창남 | 1971. 1. 12 | 1972. 10. 20 |
8 | 양태봉 | 1972. 10. 20 | 1973. 9. 17 |
9 | 양인호 | 1973. 9. 17 | 1976. 5. 21 |
10 | 양정호 | 1976. 5. 21 | 1978. 9. 1 |
11 | 양인호 | 1978. 9. 1 | 1979. 12. 29 |
12 | 양두석 | 1979. 12. 29 | 1982. 1. 20 |
13 | 강관선 | 1982. 1. 20 | 1984. 1. 31 |
14 | 양원휴 | 1984. 1. 31 | 1986. 1. 15 |
15 | 문동수 | 1986. 1. 15 | 1988. 2. 15 |
16 | 양치선 | 1988. 2. 15 | 1989. 10. 30 |
17 | 양건남 | 1989. 11. 1 | 1991. 4. 17 |
18 | 문태수 | 1991. 4. 17 | 1994. 1. 26 |
19 | 양계종 | 1994.0 1. 26 | 1996. 1. 4 |
20 | 고희택 | 1996. 1. 4 | 1998. 1. 7 |
21 | 양홍조 | 1998. 1. 7 | 2000. 1. 19 |
22 | 강형준 | 2000. 1. 19 | 2002. 1. 21 |
23 | 안덕흡 | 2002. 1. 21 | 2004. 1. 5 |
24 | 강봉아 | 2004. 1. 5 | 2006. 1. 6 |
25 | 문희철 | 2006. 1. 6 | 2008. 1. 2 |
26 | 부창범 | 2008. 1. 2 | 2009. 10. 13 |
27 / 28 | 강경윤 | 2009. 10. 14 | 2013. 12. 31 |
29 / 30 | 부기배 | 2014. 1. 1 | 2017. 12. 31 |
31 | 양권범 | 2018. 1. 1 | 현 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