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약사
고려 원종12연∼14년 : 1271년∼1273년 엄장이(구엄리)설촌 삼별초 반란 당시 토성축조때 본 리 사람들이 동원(口傳) 이때 삼전사와 원수사에 병립하여 입가
조선 명종14년 : 1559년 강려목사(지방장관)가 부임하면서 바닷물로 소금을 암반에서 제조하는 방법을 교학후 염전이라 부르다.
조선 순조17년 : 1817년∼1850년 비석거리 소재 송덕비 건립 [윤목사와 장목사가 잠시 머물렀다가 그 자취를 남기고간 비석을 말한다(구장면)]
조선 철종원년 : 1850년 엄장면(비석거리 두 목사 비에 엄장면이라 작은 것으로 보아 당시 삼엄리로 분리. 신해년10월 엄장면 당시 윤공제덕비와 장공선정비가 건립됨(이때 '장(莊)'자를 '엄(嚴)'자로 하여 三嚴莊里로)
조선 고종 9년 : 1872년 본리의 이강 욕신책으로 시행중 1973년 폐지됨.
조선 고종11년 : 1874년 리에 전위된 경민장을 두었다.
조선 광무 9년 : 1905년 전위 경민장을 피하고 구장으로 개칭
조선 순종원년 : 1807년 이재수(李在守)난에 본리를 지나다 구명
서기 1917년 : 세부측량으로 이경계를 확정
서기 1920년 : 구장을 신엄리장으로 개칭
서기 1922년 : 6월 30일 사립 일신학교로 개교
서기 1922년 : 현 일주도로 개설(예전에 부르기에는 신작로라 부름)
서기 1923년 : 4월 1일 재단법인 사립 일신학교로 개교
서기 1939년 : 2월 1일 구엄공립심상소학교는 사립일신학교를 흡수하고 재단법인 기금으로 부지를 매입하여 구엄경 1069번지에 설립인가 同年 6월 1일 6년제 4학급으로 개교
서기 1948년 : 4월3일 공산당의 흉계에 의하여 4.3사건 발생, 동년양 11월 9일과 양 12월 19일에 공비들이 학교, 교사, 가옥, 가축 등 방화와 살인을 하며 구엄리에 3회 습격 (학교 교사는 전소)
서기 1948년 : 4.3사건의 악화로 민.관 전체로 민보단을 조직하여 마을의 안전과 경비에 만전을 기하고자 마을주변에 석성을 축조, 요소요소에 초소를 설치, 24시간 경비에 임하다.
서기 1949년 : 산간마을 소개령에 의하여 수산 (예원동)이민이 본 리에 소개함.
서기 1950년 : 6월 1일 대한민국 교육법시행령에 의거 구엄공립국민학교를 구엄국민학교로 교명이 개명
서기 1963∼1981까지 지붕 改良과 스레트나 기와집으로 또한 한옥과 양옥으로 변모되며 마을안길 포장과 농로 확장하며 교통수단이 좋아짐.
서기 1973∼1990년 사이에 세탁장 수도, 전기, 전화 농용수에 이르기까지 본리 각 가정에 가설사업 준공과 리민회관 건립에 재일교포 재경향우회, 재시향우회 재향민의 성금으로 건립 준공하여 기념비 건립
서기 1993년 : 1992년 노인정(노인회관) 구향사를 개·보수하는데 군청지원과 재향민 성금으로 준공. 노인회에서 이용 운영중임.
마을발전 과정
본 마을은 불교 전성기인 신라 말엽 내지 고려 중엽에 이르러 가문동(可文洞)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하천 하류(내깍)에 삼전사(森田寺)와 남쪽으로는 원(院동)산에 원수사(院水寺)가 병립한 이 두곳에 사람들이 살았고 삼별초의 반란당시(1270∼1273년)에 김통정장군(金通精 將軍)이 토성축조할 때 동원된 것으로 미루어 씨족사회를 이룬게 약 700여년 전의 역사와 그 이후 구전에 의하면 본 마을의 첫 입조자는 송씨(宋氏)
할망당이 베잇골 현재 할망당이라 하였다 하여 점차 각 성씨들의 이주로 형성된 것이 시초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우낙기,『국민관광 제주도지』, 정문사
- 『제주대학국어교육학술조사보고서』 제5, 6편
- 『제주도역사지리일람』 제5편
- 『월간 관광제주』 4호 5호(4.3문제)
역대이장
구 분 | 대 수 | 성 명 | 재 임 기 간 | 비 고 |
---|---|---|---|---|
區長 | 1 | 강기오(姜基五) | 1920 ∼ 1924 | |
" | 2 | 문권석(文權奭) | 1924 ∼ 1926 | |
" | 3 | 고창수(高昌壽) | 1926 ∼ 1929 | |
" | 4 | 송봉진(宋奉珍) | 1929 ∼ 1933 | |
" | 5 | 문영백(文永伯) | 1933 ∼ 1945 | |
" | 6 | 고학봉(高鶴峯) | 1945 ∼ 1946 | |
里長 | 1 | 고시평(高時平) | 1946 ∼ 1949 | |
" | 2 | 송경오(宋庚五) | 1949 ∼ 1950 | |
" | 3 | 문순옥(文順玉) | 1950 ∼ 1952 | |
" | 4 | 고인옥(高仁玉) | 1952 ∼ 1954 | |
" | 5 | 김순범(金淳範) | 1954 ∼ 1957 | |
" | 6 | 고재윤(高在倫) | 1957 ∼ 1961 | |
" | 7 | 송덕보(宋德保) | 1961 ∼ 1964 | |
" | 8 | 송정근(宋禎根) | 1964 ∼ 1965 | |
" | 9 | 고원화(高元花) | 1965 ∼ 1968 | |
" | 10 | 강기언(姜基彦) | 1968 ∼ 1970 | |
" | 11 | 강순범(姜淳範) | 1970 ∼ 1974 | |
" | 12 | 문기관(文琦琯) | 1974 ∼ 1976 | |
" | 13 | 박원호(朴元昊) | 1976 ∼ 1977 | |
" | 14 | 전음송(全音松) | 1977 ∼ 1979 | |
" | 15 | 양중봉(梁重奉) | 1979 ∼ 1981 | |
" | 16 | 송정만(宋禎滿) | 1981 ∼ 1983 | |
" | 17 | 강위상(姜渭尙) | 1983 ∼ 1985 | |
" | 18 | 김여환(金汝煥) | 1985 ∼ 1986 | |
" | 19 | 송정근(宋禎根) | 1986 ∼ 1990 | |
" | 20 | 송덕보(宋德輔) | 1990 ∼ 1993 | |
" | 21 | 송제호(宋濟湖) | 1993 ∼ 1995 | |
" | 22 | 고석철(高錫哲) | 1995 ∼ 1996 | |
" | 23 | 강원호(姜元豪) | 1996 ∼ 1998 | |
" | 24 | 이노공(李老貢) | 1999 ∼ 2001 | |
" | 25 | 강성호(姜誠皓) | 2001 ∼ 2002 | |
" | 26 | 강승범(姜承範) | 2003 ~ 2006 | |
" | 27 | 송인수(宋仁秀) | 2007 ~ 2008 | |
" | 28 | 고관임(高官任) | 2009 ~ 2010 | |
" | 29 | 문상철(文相哲) | 2011 ~ 2012 | |
" | 30 | 송광수(宋光洙) | 2013 ~ 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