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약사
묵리는 하추자의 서남쪽 계곡 비슷하게 우묵한 지대에 위치해 있다. 옛이름은 "미기". 묵리 남쪽 해안가에는 "당목재"라는 지경이 있으며, 여기에는 지금도 해신당이 있고 그 서쪽에는 포구가 있다.
이 마을 "생금이"지경에는 "금판골창"이라는 골짜기가 있고, 길이50m쯤 굴을 파 들어갔는데, 일제시대부터 1960년대까지 금과 동, 구리 등 광석을 채굴했던 현장이다. 이런 무렵 한때 이 마을은 신흥리(新興里)라는 이름으로 불린 바도 있다.
조선시대 1870년(高宗 7년)에는 정만식(鄭晩植)이 이필제(李弼濟)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이 마을로 종신유배형을 받고 와서 살았고, 1876년(고종 13년) 조병창(趙秉昌)도 이 마을로 유배와서 살았었다고 하나 지금 그 후예들은 이 마을에 없다.
지금 이 마을에 살고 있는 성씨는 김해배씨(金海裵氏) 분성파 입도조 묘오와 김해김씨(金海金氏) 안경공파(安敬公派)[입도조 재경], 해남윤씨(海南尹氏) 행당파[입도조 덕취], 밀양박씨(密陽朴氏) 청계공파 [(입도조 일봉(日奉)], 비정공파(몽진), 등이 각 7대, 제주고씨(濟州高氏) 삼효공파 [입도조 성재]와 청주한씨(淸州韓氏) 참의공파 [입도조 시중], 함안조씨(咸安趙氏) 집의공파 [입도조 봉휘], 여양천씨 화산군파 [입도조 덕관] 등 4개 성씨가 각 6대, 그리고 인동장씨(仁同張氏) 남산파 [입도조 장원]이 5대를 이 마을에서 살아오고 있다.
역대이장
마을명 | 대수 | 성 명 (한자) | 현주소 | 재직기간 | 비고 |
---|---|---|---|---|---|
이장재직시주소 | |||||
묵 리 | 1 | 배대현 | 묵 리 387 | 46.4.1∼47.6.30 | 사망 |
" | 2 | 김원태 | 묵 리 406 | 47.7.1∼48.4.21 | " |
" | 3 | 김석규 | 묵 리 501 | 48.4.2∼49.5.21 | " |
" | 4 | 김병규 | " | 49.5.22 50.3.30 | " |
" | 5 | 김정후 | 묵 리 433 | 50.4.1∼50.12.24 | " |
" | 6 | 박노석 | 묵 리 400-1 | 51.12.30∼52.7.12 | " |
" | 7 | 조덕재 | 묵 리 473 | 52.7.16∼56.8.10 | " |
" | 8 | 김종필 | 서귀포서귀319-24 묵 리 392 | 56.8.11∼60.9.30 | 서귀 |
" | 9 | 배석호 | 묵 리 373 | 60.10.1∼64.9.24 | 사망 |
" | 10 | 김종남 | 부산 묵 리 410 | 64.10.5∼65.12.31 | " |
" | 11 | 천필환 | 묵 리 403 | 66. 1.1∼67.8.21 | " |
" | 12 | 김양태 | 묵 리 368 | 67.8.22∼75.12.15 | " |
" | 13 | 박성배 | 제주일도2동113-1 수선화APT라/501 | 75.12.16∼79.2.8 | 제주 |
묵 리 709 | |||||
" | 14 | 윤재인 | 묵 리 392 | 79.2.9∼81.4.14 | |
" | 15 | 배용순 | " 369-1 | 81.7.1∼87.2.2 | 사망 |
" | 16 | 김옥태 | " 434 | 87.2.3∼90.1.31 | |
" | 17 | 배복남 | " 366 | 90.2.1∼96.3.16 | |
" | 18 | 박강치 | " 442 | 96.3.17∼99.2.11 | |
" | 19 | 배복남 | " 366 | 99.2.20~02.1.31 | |
" | 20 | 배복남 | " 366 | 02.2.1~05.1.31 | |
" | 21 | 윤재산 | 묵리 401-1 | 05.2.1~08.1.31 | |
" | 22 | 윤재산 | 묵리 401-1 | 08.2.1~11.1.31 | |
" | 23 | 배복남 | 묵리 366 | 11.2.1~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