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약사
이 고장에 언제부터 마을이 형성(形成)되었는지에 대하여는 확실한 기록이나 문헌을 찾아볼 수 없을 뿐 아니라 고증(考證)할 길도 없어서 구전(口傳)에 의하여 추리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마을에서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말에 의하면 [임자(壬子) 조막(造幕)하고 갑인(甲寅) 설동(設洞)]했다고 하나 임자(壬子)와 갑인(甲寅)의 정확한 연대는 알길이 없다.
무릉리(武陵里) 노인회장이신 홍순하(洪順夏)님에 의하면 이 마을은 선조(宣祖) 8년(을해년)에 둔포리(屯浦里)에서 분향(分鄕)했으므로 설동(設洞)은 그 이전으로 보아야 할 것이라고 하고 있으며 마을의 여러 어른들도 이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금부터 430년전인 1552년(명종 7년) 임자년(壬子年)에 조막(造幕)하고 2년후인 1554년(명종 9년) 갑인년(甲寅年)에 설동(設洞)되었다고 추리할 수 있을 것 같다.
설동당시 맨처음 입주한 분은 백씨(白氏)라고 하며 첫 경작지는 전답음요수(前踏飮要水 : 일명 '앞논물'이라고도 하며 현재의 무릉리 2129번지 일대) 라고 전해지고 있다.
그 후 1575년(선조 8년) 을해년(乙亥年)에 본리(本里) 거주 정존의(鄭尊儀)에 의하여 마을 이름을 '구목리(枸木里)'라 부르게 되었다.
1654년(효종 5년) 갑오년(甲午年) 대정현감(大靜縣監)으로 부임한 변만향(邊萬鄕)이 현 신도리(新挑里)의 옛이름인 둔포리(屯浦里)란 부락명이 좋지 않다하여 도원리(挑源里)로 개칭하게 되자 이웃마을인 본리(本里)도 당시 이훈장(李訓長)이 주동이 되어 부락민들과 의논하여 부락명을 고치기로 하고 옛 중국고사에 나오는 선경처(仙境處)인 무릉도원(武陵桃源)의 머릿글자를 따서 구목리(枸木里)를 무릉리(武陵里)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설촌후의 씨족(氏族)을 보면 백씨(白氏), 정씨(鄭氏), 황씨(黃氏), 홍씨(洪氏), 김씨(金氏) 등이 들어와 살았었는데 그후 임씨(林氏), 이씨(李氏), 강씨(姜氏), 문씨(文氏), 오씨(吳氏) 등 많은 성씨들이 외부에서 들어와 무릉리(武陵里) 부락을 형성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목리(枸木里) 당시 행정책(行政責)은 리집강(里集綱)이라 하여 리(里) 최고 책임자를 정민장(政民長) 차위(次位)에 존의(尊儀), 농감(農監), 기찰(紀察), 그 밑에 하소인(下召人)을 두어 리행정(里行政)을 펴 나갔다.
외침(外侵)을 막기 위하여 활쏘기 사격연습장(射場)과 '솔대왓'이라는 지명이 붙은 쏠대(활쏘기 할 때의 과녁)가 있고 군마를 거두어다 낙인을 찍던 수마터(收馬處)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지금도 '사장동' '쏠대왓'이라는 지명이 그대로 불리워지고 있다.
1850년 경에는 무릉리(武陵里)를 중심으로 하여 모동장(毛洞場)이란 관용목장(官用牧場)이 있었는데 서장(西場. 신도리경), 중장(中場. 무릉리경), 남장(南場. 영락리경) 등 3장이 있었다고 한다.
원(元) 대정군지(大靜郡誌. 高柄五, 朴用厚 共著)에 의하면 모동장(毛洞場)은 현(縣) 서쪽 15리 대정읍(大靜邑) 무릉리(武陵里)에 있으니 조위(調圍) 37리요, 마우감(馬牛監) 각 1인, 군두(群頭) 1인, 목자(牧子) 18명이었으며 원래는 우마(牛馬)를 함께 방목하고 감목(監牧)도 따로 있었는데, 그 후 말이 점점 줄어서는 까만소(黑牛)와 말을 길러서 말은 군마(軍馬)로 사용하였고 까만소는 육용(肉用)으로 국가에 진상(進上)하였다고 한다.
역대이장
順 位 | 姓 名 | 在 任 期 間 | 備 考 |
---|---|---|---|
1 | 金碩祉(김석지) | ~ | 里 長 |
2 | 朴致休(박치휴) | ~ | |
3 | 宋應贊(송응찬) | ~ | 〃 |
4 | 宋珍富(송진부) | ~ | 區 長 |
5 | 李喜香(이희향) | ~ | 〃 |
6 | 李英春(이영춘) | 1931. 7. ∼ 1934. 2. | 〃 |
7 | 林太玉(임태옥) | 1934. 3. ∼ 1938. 7. | 〃 |
8 | 李英春(이영춘) | 1938. 8. ∼ 1941. 2. | 〃 |
9 | 姜承訓(강승훈) |
1941. 3 - 1946. 5
|
〃 |
10 | 黃雲平(황운평) | 1946. 6. ∼ 1948. 7. | 〃 |
11 | 宋喜京(송희경) | 1948. 8.∼ 1952. 2. | 〃 |
12 | 姜順河(강순하) | 1952. 3.∼1952. 10. | 里 長 |
13 | 洪錫祐(홍석우) | 1952. 11.∼1953. 9. | 〃 |
14 | 金明五(김명오) | 1953. 9. ∼ 1956. 1. | 〃 |
15 | 姜丞訓(강승훈) | 1956. 2.∼ 1959. 2. | 〃 |
16 | 宋斗河(송두하) | 1959. 2.∼1960. 2. | 〃 |
17 | 黃大善(황대선) | 1960. 2.∼ 1963.12. | 〃 |
18 | 黃德浩(황덕호) | 1963. 12.∼ 1965. 1. | 〃 |
19 | 林碩基(임석기) | 1965. 2. ∼ 1967. 2. | 〃 |
20 | 林彰時(임창시) | 1967. 5. 1 ∼ 1972. 3. 1 | 〃 |
21 | 黃斗還(황두환) | 1970. 2. ∼ 1972. 1. | 〃 |
22 | 吳昌祚(오창조) | 1972. 3. ∼ 1973. 6. | 〃 |
23 | 金承泰(김승태) | 1973. 7.∼ 1984. 2. | 〃 |
24 | 宋義功(송의공) | 1984. 2. ∼ 1987. 3. | 〃 |
25 | 黃金珍(황금진) | 1987. 5. ∼ 1991. 3 | 〃 |
26 | 임 현 순 | 1991. 4 ∼ 1994. 4 | 〃 |
27 | 김 영 태 | 1994. 5 ∼ 1999. 4 | 〃 |
28 | 진 방 인 | 1999. 5 ∼ 2002. 2. 25 | 〃 |
29 | 임 용 찬 | 2002. 2. ~ 2005. 3. | 〃 |
30 | 임 창 완 | 2005. 3. 8 ~ 2008. 2. 20 | 〃 |
31 | 문 석 희 | 2008. 2. 21 ~ 현 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