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동낭알 | ||
---|---|---|---|
작성자 | 관리자 | 조회 | 535 회 |
「동냥」은 '먹을 것이나 돈푼을 얻기 위해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행위'를 말한다. 제주방언으로 「동냥바치」는 거지를 뜻하는데, 여기서 '바치'는 생략되었다. 「동냥바치」가 모여 살았던 장소의 아래쪽이라는 뜻이다. 「알」은 아래의 방언이다 파래가 많이 생산되어 이것을 얻으러 오기 때문에 「동냥알」, 전흘동에 난파선의 엽전들이 많이 올라와 이것을 주우러 「동냥바치」들이 모여 살았던 곳으로 「알」이라 하기도 한다.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
---|---|---|---|---|
1746 | 주흥동 까막동산 | 관리자 | 469 | |
1743 | 큰·족은동산 | 관리자 | 466 | |
1742 | 둠벙 | 관리자 | 502 | |
1739 | 물코 | 관리자 | 536 | |
1736 | 개와당 | 관리자 | 486 | |
1731 | 웃안은 봉오지 | 관리자 | 515 | |
1729 | 사장(沙場) | 관리자 | 442 | |
1727 | 늙은이 물 알 | 관리자 | 453 | |
1724 | 수덕(壽德)동산 | 관리자 | 434 | |
1722 | 족은 수덕 | 관리자 | 490 | |
1719 | 판통 | 관리자 | 421 | |
1716 | 구진물통 | 관리자 | 717 | |
1712 | 하고수동 까막동산 | 관리자 | 553 | |
1708 | 장테코 | 관리자 | 460 | |
동낭알 | 관리자 | 535 | ||
1705 | 마주목 거리 | 관리자 | 558 | |
1703 | 유치원 거리 | 관리자 | 502 | |
1702 | 중백(中佰)이 동산 | 관리자 | 470 | |
1701 | 탑다니 동산 | 관리자 | 475 | |
1699 | 개우렁이 | 관리자 |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