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떡 쪄 먹기 | ||
---|---|---|---|
작성자 | 관리자 | 조회 | 1,264 회 |
정월 대보름날 시루빗마다 사람이 이름을 써서 찐 다음 그 익은 상태를 보고 그 사람의 한해 운을 점치는 것이다.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두의 이름을 쓰는 경우 도는 이웃이 모여서 하는 경우, 동네 어른들이 모여서 하는 경우 그 모습은 다양하였다. 그 외에도 오곡밥을 해 먹으며 노는 경우도 있었다.
떡을 쪄 먹는데 희비가 엇갈릴때도 많다, 그도 그럴것이 똑같은 조건에서 찐 것인데도 부분 부분 익고 선 것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렇듯 정월 대보름날은 떡을 쪄 한해의 운수를 보며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60년대만 하더라도 이러한 광경을 볼 수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이날이면 나이 많은 부인들이 이민관에 모여 노는 모습을 가끔 볼수 있다.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
---|---|---|---|---|
3792 | 관혼상제례(冠婚喪祭禮) | 관리자 | 1392 | |
3788 | 토속신앙 | 관리자 | 1330 | |
떡 쪄 먹기 | 관리자 | 1264 | ||
3780 | 장담기 | 관리자 | 1233 | |
3775 | 세시풍속 | 관리자 | 1298 | |
3771 | 정월초하루 | 관리자 | 1371 | |
3767 | 토정비결 | 관리자 | 1266 | |
3761 | 연날리기 | 관리자 | 1582 | |
3758 | 입춘 | 관리자 | 1185 | |
3746 | 단오 | 관리자 | 1280 | |
3716 | 쇠먹임 | 관리자 | 975 | |
3709 | 수눌음 | 관리자 | 751 | |
3706 | 닭 잡아먹는날 | 관리자 | 740 | |
3701 | 백중 | 관리자 | 791 | |
3698 | 벌초 | 관리자 | 799 | |
3693 | 한가위 | 관리자 | 782 | |
3690 | 신구간 | 관리자 | 810 | |
3685 | 팥죽 쑤어 먹는 날 | 관리자 | 793 | |
3682 | 원님놀이 | 관리자 | 783 | |
3677 | 삥이치기 놀이 | 관리자 | 7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