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허 채(許採) | ||
---|---|---|---|
작성자 | 관리자 | 조회 | 666 회 |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역은 이 고장의 소득물로 한 몫을 했다. 일정한 기간 동안 개인적으로 미역을 채취하는 것을 금지(禁止)시켰다가 수확기가 되면 길일(吉日)을 택하여 일제히 미역을 채취하게 되는데 이 때에 미역 채취를 허가하는 것을 허채(허경)라 한다. 근래에 와서는 미역값이 떨어져 소득이 없으므로 이 일에 선경을 덜 쓰는 형편이지만 시세가 좋았을 때에는 미역 허채 전에 꼭 미역 허채 일을 정하여 일제히 미역 채취 작업을 벌여 왔다. 요사이 와서는 미역보다는 톳, 천초등을 이러한 방법으로 허채일을 정하여 채취한다.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
---|---|---|---|---|
1348 | 성산항 | 관리자 | 1802 | |
1347 | 진덕 | 관리자 | 1042 | |
1346 | 정도 | 관리자 | 1001 | |
1345 | 작지캐 | 관리자 | 1064 | |
1344 | 윤선자리 | 관리자 | 1057 | |
1343 | 어깨이섬 | 관리자 | 1134 | |
1342 | 안수매밑 | 관리자 | 1040 | |
1341 | 성산봉수 | 관리자 | 1185 | |
1340 | 성산굴 | 관리자 | 1263 | |
1339 | 샛개 | 관리자 | 1055 | |
1338 | 성산일출봉(제주도기념물 제36호) | 관리자 | 1227 | |
1337 | 육지로 떠나면서 부르는 노래 | 관리자 | 686 | |
1336 | 돌아올때 노 젓는 노래 | 관리자 | 642 | |
1335 | 출발할때 노 젓는 노래 | 관리자 | 813 | |
1334 | 해녀제(海女聚) | 관리자 | 643 | |
1333 | 새해 행운 빌기 | 관리자 | 606 | |
허 채(許採) | 관리자 | 666 | ||
1331 | 풍어제(豊漁祭) | 관리자 | 655 | |
1330 | 포제(祭一鄕祭) | 관리자 | 699 | |
1329 | 초가집일기 | 관리자 | 634 |